유명한 책 [월가의 영웅들]에서 <투자 준비 - 주식의 반격> 파트를 인용하겠습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주식투자는 채권투자보다 틀림없이 높은 수익을 보였다. 실제로 1927년 이후 주식의 연평균 수익률은 9.8퍼센트였던 반면, 회사채는 5퍼센트, 정부채는 4.4퍼센트, 재무부 단기증권은 3.4퍼센트에 머물렀다.
소비자물가 지부로 측정한 장기인플레이션이 연 3퍼센트라는 점을 감안하면 주식의 실질 수익률은 연 6.8퍼센트다. 가장 안전하다고 알려진 재무부 단기증권의 실질 수익률은 0이었다. 그렇다. 전혀 가치가 없었다.

주식 수익률 9.8퍼센트와 채권 수익률 5퍼센트의 차이가 하찮게 보일지 모른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자, 1927년 말에 립 벤 윙클이 연 수익률 5퍼센트의 회사채에 2만 달러를 주하하고 60년 동안 잠들었다면 , 그는 깨어날 때 37만 3,584달러를 손에 쥐게 된다. 이 돈이면 근사한 콘도와 볼보 승용차를 사고 멋지게 머리도 다듬을 수 있다. 반면 연 수익률 9.8퍼센트인 주식에 투자했다면 그가 손에 쥘 수 있는 돈은 545만 9,720달러가 된다.
1927년에 네 가지 상품에 각각 1,000달러씩 세금 없이 복리로 투자했다면, 60년 뒤에는 다음과 같은 금액으로 불어나게 된다.
재무부 단기증권 - 7,400달러
정부채 - 13,200달러
회사채 - 17,600달러
주식 - 272,000달러
대폭락, 불황, 전쟁, 경기침체, 행정부 10회 교체, 수없이 바뀐 치마 길이에도 주식은 전반적으로 회사채보다 15배, 재무부 단기증권보다 30배가 넘는 수익을 가져다주었다.
그 이유는 논리적으로 섦명할 수 있다. 주식을 보유하면 회사의 성장이 투자자의 목시된다. 투자자는 번창하고 확장하는 회사의 파트너이기 때문이다. 반면 채권을 보유한 투자자는 언제든지 교체 가능한 자금 공급자에 불과하다. 누군가에게 자금을 빌려줄 경우 기대할 수 있는 최상의 겨롸는 원금에 이자를 보태서 돌려받는 것뿐이다. 채권 투 작자가 바로 이러한 입장이다.
일정기간 맥도널드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를 생각해보자.
이 투자자와 맥도날드의 관계는 부채를 갚는 것으로 종료된다. 일확천금의 짜릿한 반전 따위는 일어나지 않는다. 은행 CD를 매입한 사람이 원리금을 돌려받듯이 맥도널드 채권 보유자도 돈을 돌려받는다.
하지만 맥도날드 주식을 보유했던 투자자는 부자가 되었다. 이들은 회사를 소유했기 때문이다. 채권에 투자해서는 절대로 10루타를 잡을 수 없다. 당신이 부도 채권 전문가가 아니라면 말이다.
MMF란 Money market fund의 약자이다.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해 단기 실세금리의 등락이 펀드 수익률에 신속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 초단기공사채형 상품이고, 고객의 돈을 모아 금리가 높은 기업어음, 양도성 예금증서, 콜 등 단기금융상품에 집중 투자하여 수익을 얻어서 되돌려주는 실적배당상품이다. 고수익 상품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수익이 높은 게 특징이다.
예전에 MMF가 카드사 채권 및 기업어음 등을 대거 편입해 대규모 환매사태가 벌어지게 되자 2003년 3월부터는 회사채나 기업어음 등에는 투자하지 않고 안전성이 높은 국공채 등에만 투자하는 '국공채 전용 MMF'가 판매되고 있다. 국공채 위주 MMF펀드 수익률은 다른 MMF펀드에 비해 조금 낮지만 안정성이 강화되었다.
일단은 주린이로써 주식을 좀더 집중해서 공부해볼 생각입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